본문 바로가기
주식스터디

아마존 PER 31.69, 지금 매수해도 될까? – 성장주 투자자의 판단 기준

by 초록이달록이 2025. 4. 9.
반응형

최근 주식 커뮤니티에서 자주 들리는 말 중 하나, “아마존 PER이 31.69래! 이거 지금 싸게 보이는 거 아냐?”

PER(주가수익비율)은 주식 투자를 할 때 기업의 ‘현재 주가가 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가’를 알려주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마존(Amazon, 티커: AMZN)의 현재 PER을 중심으로, 과연 지금이 매수 타이밍인지 투자자 관점에서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PER 31.69란 무슨 뜻일까?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현재 아마존의 PER이 31.69라는 뜻은, “지금 주가는 이 회사가 1년에 벌어들이는 순이익 기준으로 약 31.7년치 가치가 반영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전통적으로 PER이 10 이하이면 저평가, 20~30 이상이면 고평가로 보기도 하지만, 아마존처럼 ‘성장주(Growth Stock)’는 기준이 조금 다릅니다.


2. PER만 보면 비싼 걸까? 아마존 과거와 비교해보기

PER은 단순히 현재 수치보다, 자체 과거 평균이나 경쟁사와의 비교를 통해 해석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연도 PER 시장 상황
2018 약 90+ 클라우드 성장기, 프라임 확대
2020 60~80 코로나 특수, 기술주 전성기
2022 70~80 고금리 시작, 이익 둔화
2025 31.69 실적 개선 + 주가 반등 전

👉 지금의 31.69는 과거 대비 상당히 낮은 PER 수치로, 현재 주가는 실적 대비 ‘비싸지 않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3. 아마존, 지금 왜 PER이 낮아졌을까?

  • ① 실적이 점차 회복 중: AWS 매출 증가, 광고 사업 성장
  • ② 고금리 피크아웃 기대감: 밸류에이션 부담 감소
  • ③ 과거의 고PER 대비, 투자 심리 안정화: 시장이 성장률보다 실적 중심으로 판단 중

즉, 예전처럼 꿈과 희망으로만 주가가 움직이지 않고, 실적 기반으로 PER이 합리적으로 낮아진 상태라는 겁니다.


4. PER 외에 매수를 판단할 다른 요소는?

  • 🟢 성장성: AWS, 광고, AI 인프라 투자 지속 → 장기 성장 모멘텀
  • 🟡 리스크: 소비 둔화, AI 경쟁 심화, 단기 매크로 변수
  • 📉 주가 위치: 최근 1년 기준 저점 대비 15~20% 상승 구간
  • 📊 기술적 지표: 200일 이동평균선 부근 → 지지 테스트 중

5. 결론: 지금은 ‘분할 매수’로 접근하기 좋은 구간

현재 아마존의 PER 31.69는 과거 평균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최근 실적 회복과 성장성 유지 덕분에 중장기 관점에서 매수 유효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은 항상 변동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 번에 몰빵하기보다는 분할 매수 전략이 리스크를 줄이면서 투자 기회를 늘릴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요약하면?

  • ✅ PER 기준으로는 역사적 저점 구간 근접
  • ✅ 실적 + 성장성 모두 긍정적
  • ⚠️ 단기 리스크도 있으니 분할 매수가 안정적

💡 지금이 꼭 최저점은 아닐 수 있지만, “아마존을 장기 보유할 투자자”에게는 분명히 고려해볼 만한 타이밍입니다.

👉 당신의 포트폴리오에 아마존을 더할지 말지는, 이제 PER 하나가 아닌 ‘전체 맥락’을 보고 판단하세요!

``

댓글